6월 29일 말씀동행 문제 | 운영자 | 2025-07-24 | |||
|
|||||
* 출제범위 : 욥기 34~42장, 잠언 1~22장, 시편 27편~33편 1. 엘리후는 욥의 발언 중 하나를 인용하며 그것이 교만함의 표현이라고 말합니다. 엘리후가 인용한 욥의 말로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? (욥 34) ① “나는 하나님 앞에서 티끌과 같다.” ② “내가 의로우나 하나님이 내 공의를 제하셨고…” ③ “하나님은 무고한 자를 버리지 않으신다.” ④ “의인은 고난을 통과해 순금같이 나올 것이다.” 2. 하나님은 욥에게 말하고 강조하신 베헤못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? (욥 40) ① 그것은 풀을 먹는다. ② 뼈는 놋 같고, 힘줄은 강철 같다. ③ 하나님이 만든 것 중 으뜸이다. ④ 그 꼬리는 백향목처럼 부드럽다. 3. 지혜가 어리석은 자에게 외치는 말 중, 그들이 책망을 싫어하면 어떤 결과가 옵니까? (잠1-9) ① 수치와 멸시가 함께 올 것이다. ② 그들의 부르짖음에 하나님이 응답하지 않으실 것이다. ③ 그들의 땅은 메마르고 열매를 맺지 못할 것이다. ④ 명철한 자가 그들을 다스릴 것이다. 4. 여호와께서 미워하시는 것들 중 ‘거짓된 혀’와 함께 언급되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? (잠 6) ① 교만한 눈 ② 살인자의 손 ③ 악을 꾀하는 마음 ④ 이웃을 무시하는 입술 5. ‘어리석은 자가 말을 삼가지 않으면’ 생기는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은? 무엇입니까? (잠 17) ① 악한 자들의 꾀에 쉽게 휘말린다. ② 자기의 영혼을 망친다. ③ 입을 닫으면 지혜롭게 보일 수 있다. ④ 그의 미련함이 모든 사람에게 드러난다. 6. 시인은 자신이 조롱받는 상황에서 사람들이 그를 조롱하며 한 말은 무엇입니까? (시 22) ① “그는 스스로를 구원하지 못하는구나.” ② “그가 여호와께 맡겼으니 구원하실 것이다.” ③ “하나님이 그를 잊으셨다.” ④ “너는 네 죄를 먼저 고백하라.” 7. 다윗은 한 가지를 하나님께 간구한다고 고백합니다. 그가 평생에 여호와께 바라는 ‘한 가지 소원’은 무엇이었습니까? (시 27) 8. 하나님은 ‘리워야단’을 묘사하면서, 사람이 그것을 제어할 수 없는 이유를 반복적으로 언급합니다. 하나님이 그 생물의 어떤 특징을 통해 욥에게 인간의 한계를 깨닫게 합니까?(욥 41) 9. 여호와를 신뢰하되 스스로를 의지하지 말라고 할 때, 신뢰의 결과로 주어지는 실제적 축복 두 가지는 무엇입니까? (잠 3) 10. 다윗은 죄를 숨기던 때의 고통과 자백 후의 회복을 대조합니다. 그는 자신의 뼈가 쇠하였다고 고백하며, 하나님께 죄를 자백한 후 어떤 세 가지 반응을 경험하였다고 말합니까? (시 32)
|
댓글 0